연구내용요약

HOME연구개발연구내용요약

부단한 연구개발과 기술투자가 국내외에서
바이오게르마늄의 기술력을 인정 받게 된 원동력입니다.

일부 업체는 생산설비나 연구시설도 없이 저가의 원료를 수입한 후, 한국에서 포장만하여 판매합니다. 그러고는 검증 안된 해외 논문 한두 개를 언급하며 뛰어난 효과를 확인하였다고 광고합니다. 오로지 홈쇼핑, TV, 신문 등의 광고에 집중하여 제품을 팔다가, 유행이 바뀌면 신속히 새로운 모방품을 만드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게란티제약은 다릅니다. 먹는 게르마늄 하나로 30여 년간 연구 개발하고 판매해왔습니다. 바이오게르마늄에 대한 믿음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입니다.

아래 요약된 실험들은 모두 게란티제약 신원료인 바이오게르마늄을 사용하여, 검증된 연구기관에서 직접 진행한 실험의 결과입니다. 이들 실험결과는 국내외 학회지에 등재되었습니다. 바이오게르마늄으로 다양한 연구와 실험을 장기간 실행하여 왔고, 국제적으로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기술력을 꾸준히 인정 받아왔습니다.

면역 관련 연구

년도 연구명 및 연구소 요약
1995 항암작용 및 면역증강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이 면역 증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

결론: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이 복강 면역세포의 동태, 대식세포의 탐식능, Rosette 형성능, 주화성, 부착능, 활성산소 생성능 및 항체 생산능을 유의성있게 증가시켜, 면역증진에 유용성이 있음을 확인함. 또한 대식세포와 같은 세포성 면역 외에 체액성 면역의 활성에 영향을 주어 면역강화뿐 아니라 면역조절능력에 유용성을 확인함.
2003 대식세포 활성화 효과에 관한 연구
(바이오톡스텍)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면역세포인 대식세포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

결론: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고함량)이 면역기능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산화질소와 종양괴사인자(TNF-alpha)의 생성을 유의성있게 증가시켜 면역력 활성함을 확인함.
면역력 조절능의 시험
(바이오톡스텍)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면역활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

결론: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고함량)이 NK세포(Natural Killer Cell, 자연살해세포)의 세포학적 활성(Cytologic Activity)을 우수하게 증가시켜, 면역기능을 유의성 있게 활성함을 확인함.
2004 용혈반 형성 세포수 측정
시험
(바이오톡스텍)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이 항체생산을 유도하는 체액성 면역계 영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

결론: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 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비장 무게 및 비장 세포당 플라크(Plaque)를 형성한 세포의 수가 유의성게 증가하여 체액성 면역계를 활성함을 확인함.
2005 대식세포 활성화 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대식세포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

결론: 산화질소(NO)와 종양괴사인자(TNF-alpha)의 생성 및 산화질소이온(iNOS)의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 바이오게르마늄이 산화질소이온의 발현을 조절하여 산화질소 및 종양괴사인자의 생성을 촉진시켜 면역조절 기능에 유의성 있게 작용함이 관찰됨.
In vivo, in vitro 면역 활성능 시험
(중앙대)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면역 활성능을 확인하기 위함.

결론: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이 B 림프구 및 용혈반 형성 세포수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여 효과적으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됨.
혈청지질 및 면역세포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임상시험 -- 50명
(순천향의대)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복용으로 인체의 혈청지질 변화 및 면역기능 증진을 확인하기 위함.

결론: 본 임상실험에서는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8주간 복용으로 중성지방과 VLDL 콜레스테롤의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고, B세포의 유의적인 증가를 관찰하였으며, 면역 및 항암조절 인자로 알려진 종양괴사인자 (TNF-alpha)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면역세포 활성효과를 통하여 면역기능이 증진됨을 확인함.

임상실험에 참여한 50명에게 이상반응이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특히 간 및 신장기능과 관련된 혈액학적 수치인 ALT, AST, Creatinine, BUN, Total Bilirubin 및 ALP(부갑상선 호르몬의 과다 분비나 간 질환의 경우 혈중의 농도가 증가)가 바이오게르마늄의 복용 후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실험을 통하여 바이오게르마늄의 안전성을 검증 함.
2007 암세포 억제 및 대식세포, NK세포, B세포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충북대)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대식세포, NK세포, B세포의 기능활성화를 통한 면역기능 증강효과를 확인하기 위함.

결론: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투여군은 복강대식세포, B세포, NK세포의 활성이 2-4배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음. 대식세포의 식세포활성 2 배 활성, Rosette 형성능 4-5배 증가, 그리고 대식세포의 활성과 관계된 지표인 산화질소 (NO) 활성, 종양괴사인자(TNF-alpha) 활성, 활성산소 생성이 확인됨. 또한, 비장세포의 중량의 증가로 면역계 주요세포의 활성화에 영향을 줌을 관찰하였고, NK세포용혈활성(cytolytic activity)은 대조군 대비 2배정도의 활성이 증대 됨을 관찰함. 고형암이식 마우스에서는 종양저해 활성을 60% 가량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됨.
2019 면역기능증진 효과 및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 연구를 위한 임상시험
-- 130명
(연세대)
목적: 바이오게르마늄의 복용으로 인체 면역기능증진 및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를 연구하기 위함.

결론: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방식으로 디자인 된 본 임상실험은 성인남녀 130명이 바이오게르마늄을 복용한 후 면역기능 증진효과 및 면역기전 연구를 위해 관련 면역세포들의 활성화를 관찰함. 실험 결과, 바이오게르마늄을 투여한 실험군은 위약을 투여한 대조군 대비, NK세포 활성화가 특히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면역글로불린 (IgG1) 및 종양괴사인자 (TNF-alpha) 또한 유의적인 활성이 관찰되어, 이들 면역세포를 통하여 면역기능을 증진시킴이 재확인 됨.

임상실험에 참여한 130명에게 이상반응이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특히 간 및 신장기능과 관련된 혈액학적 수치인 AST, ALT, BUN, Creatinine 및 Uric acid는 바이오게르마늄의 복용 후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또한 신체계측, 혈액검사 및 뇨검사 등에서도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아 본 임상실험을 통하여 바이오게르마늄의 안전성을 재검증 함.

안전성 관련 연구

년도 연구명 및 연구소 요약
1994 급성 독성시험
(충북대)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급성 독성 여부 시험.

결론: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5,000mg/kg의 용량으로 투여 시, 사망률, 임상증상, 체중변화, 임상 병리 조직학적 독성 등이 발견되지 않았음.
1996 미국 FDA 인증기관의 급성 독성시험
(Biological Test Center, 미국)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급성 독성 여부 시험.

결론: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5,000mg/kg의 용량으로 투여 시, 독성의 발현이 없었으며 장기의 손상이나 임상 병리학적 이상 또한 발견되지 않았음.
2001 만성 독성시험
(강원대)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급성 독성 여부 시험.

결과: 랫트와 비글견을 대상으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3,000mg/kg 및 5,000mg/kg의 용량으로 10개월 간 투여 시, 독성 발현이 없고, 해부학적, 병리학적, 혈액학적 등의 이상 증후 없었음.
유기태 및 N-terminal 확인을 위한 신물질 분리 정제 실험
(서울대)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유기형태 여부 확인.

결과: 1년 6개월 간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분리 정제하여 계측한 결과 N-terminal을 확인하고, 에놀라아제 등의 펩타이드와 결합되어 있는 유기형태의 게르마늄임을 확인함.
2002 단회투여 독성시험 I
(바이오톡스텍)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급성 독성 여부 시험.

결과: 랫트를 대상으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2,000mg/kg의 용량으로 투여 시, 사망사례, 일반 병리증상, 체중 변화, 조직 병리학적 등의 이상이나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음.
단회투여 독성시험 II
(바이오톡스텍)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급성 독성 여부 시험.

결과: 비글견을 대상으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2,000mg/kg의 용량으로 투여 시, 사망사례, 일반 병리증상, 체중 변화, 조직 병리학적 등의 이상이나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음.
반복투여 독성시험 I
(바이오톡스텍)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만성 독성 여부 시험.

결론: 랫트를 대상으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최대 2,000mg/kg의 용량으로 13주간 투여 시, 사망사례, 체중 변화, 안과 및 뇨 검사,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검사 및 부검 등에서 이상이나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무해용량(NOEL)은 2,000mg/kg로 사료됨.
반복투여 독성시험 II
(바이오톡스텍)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만성 독성 여부 시험.

결론: 비글견을 대상으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최대 2,000mg/kg의 용량으로 13주간 투여 시, 사망사례, 체중 변화, 안과 및 뇨 검사,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검사 및 부검 등에서 이상이나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무해용량(NOEL)은 2,000mg/kg로 사료됨.
2003 유전 독성시험: 복귀돌연변이 시험
(바이오톡스텍)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복귀돌연변이 유발성 여부 시험.

결론: Salmonella Typhimurium 및 Echerichia Coli 균주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유발 가능성의 실험 결과,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최대 농도 5,000 ㎍/plate)은 복귀돌연변이를 유발할 가능 성이 없는 것으로 사료됨.
유전 독성시험: 염색체이상 시험
(바이오톡스텍)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염색체이상 유발성 여부 시험.

결론: CHL (Chinese Hamster Lung) 배양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 유발 여부의 시험 결과, 대사활성계의 적용여부에 관계없이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최대 농도 5,000 ㎍/plate)은 CHL 세포에 대해 구조적 또는 숫적 이상의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됨.
유전 독성시험: 소핵 시험
(바이오톡스텍)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소핵 형성 여부 시험.

결론: ICR 마우스의 골수세포를 이용하여 소핵시험을 실시한 결과,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최대 농도 2,000 mg/kg)에 의한 조혈기능 억제 등의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마우스 골수세포의 소핵 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사료됨.
2004 신장 독성 분석 실험
(한국화학시험연구원)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신장 잔류 여부 확인.

결론: 13주 반복투여 독성실험에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투여한 모든 그룹의 랫트의 신장을 적출하여 게르마늄의 잔류 여부를 측정 결과,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은 신장에 잔류되지 않았음을 확인함.
2003
~2005
인공위액(SGF)에 의한 해리 여부를 통한 유기게르마늄 확인 시험
(중앙대 핵자기공명연구실)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유기형태 여부 확인.

결론: 2003년과 2005년 2회 실시한 실험에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은 인공위액(SGF)에서 무기 형태 혹은 이온 형태의 게르마늄으로 해리되지 않고 견고한 유기형태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함.
2005 제조 및 이의 게르마늄 결합에 관한 연구
(중앙대)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 내의 게르마늄 결합 상태 확인.

결론: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 내에서 단백질과 결합하고 있는 게르마늄이 인공위액에서 해리되는 지 알아본 결과, 투석막을 이용한 투석 전후에 따른 게르마늄 총량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함. 이는 인공 위액에서 바이오게르마늄이 무기 형태 혹은 이온 형태의 게르마늄으로 쉽게 해리 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됨.
2007 바이오게르마늄 내의
GeO2 정성분석
(전남대)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유기형태 여부 확인.

결론: 정량 및 정성분석 시험과 NMR 시험을 병행하여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 내에 존재하는 게르마늄은 단백질, 올리고 펩타이드, 아미노산 등과 결합된 유기게르마늄이며, 무기게르마늄이 잔존하지 않음을 확인함.

기타 연구 활동

년도 연구명 및 연구소 요약
1999 WB-F344 Rat Liver Epithelial Cell(간 상피세포)에서 항암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이 TPA(12-0-tetradenoylphobol)에 의해 억제된 세포 갭정션 복원효과를 확인하기 위함.

결론: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이 마우스의 간 상피세포의 훼손된 갭정션을 복원하여 세포의 활동을 정상화 내지 활성화 시킴으로써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됨.

갭정션(Gap Junction Intercellular Communication)이란 우리 몸의 각 세포와 세포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관으로, 세포는 이를 통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고 유전자 정보도 교환합니다. 이를 통해 정상세포가 변이되어 암 세포가 되고 또한 무한 증식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항암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002 급·만성 관절염에 대한 치료효능 실험
(바이오톡스텍)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관절염에 대한 치료효능을 확인하기 위함.

결론: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 중함량 및 고함량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인 페닐부타존의 치료효능이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나타나, 바이오게르마늄이 만성 (류마티스) 관절염에 치료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
2003 Sarcoma-180에 의해 유도된 고형암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 시험
(바이오톡스텍)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고형암 성장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

결론: 마우스에 Sarcoma-180 종양을 발생시켜 고형암이 생기게 한 후,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투여한 결과, 양성약물 대조군으로 사용된 독소루비신의 고형암 형성억제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종양억제인자를 활성화 시켜 억제효과를 보인 것으로 사료됨.
항염증 작용
(중앙대)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항염증 작용을 확인하기 위함.

결론: Carragenan으로 족부종을 유발한 랫트군에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투여한 결과, 염증 유발된 RBL 2H3 세포에서 Arachidonic Acid 방출과 PGE2 생성을 52%까지 유의적으로 억제하여, 고함량 투여군에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여 관절염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In vitro 항암 효능 시험
(바이오톡스텍)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암세포 증식 억제를 확인하기 위함.

결론: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으로 면역화된 대식세포의 배양액을 암세포주에 처리하여 억제 정도를 알아본 결과, Lymphoma인 P388D1과 Leukemia L1210등의 혈액암종에 일정 수준 항암기능이 관찰됨.
2007 암세포 억제 및 대식세포, NK세포, B세포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충북대)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대식세포, NK세포 (Natural Killer Cell, 자연살해세포), B세포의 기능활성화를 통한 항암효과를 확인하기 위함.

결론: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투여로 대식세포 활성, 활성산소 증강, 종양괴사인자(TNF-alpha) 생성 및 세포독성효과가 현저히 증가함. 바이오게르마늄 투여 시, 면역세포의 활성으로 종양세포 저해율이 50%이상으로 관찰되어 항종양 효과가 확인됨. 또한, 고형암 성장 억제 시 바이오게르마늄 투여군의 체중 변화는 없었으나, 이와 대조로 항암제 독소루비신 투여군은 체중감소의 부작용이 현저하게 관찰됨.
2006
~2008
기능성 사료 첨가제 및 조류독감 예방 제제 개발에 관한 연구
(충남대)
목적: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억제하는 면역효과를 확인하기 위함.

결론: 일반 사료 섭취군은 조류독감에 의한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방출이 100% 이나,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 투여군은 30-40%로 나타났음. 또한, 일반 사료 섭취군은 치사율이 30%가 되었으나,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 투여군은 97%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음.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 투여 산란계는 조류 인플루엔자의 증식을 현저히 감소시켰음을 확인함. 조류독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산란율 저해현상도 관찰되지 않음.
연구내용요약